트레이닝공부
-
[NSCA-CSCS] 노인을 위한 저항훈련 : 저항훈련에 대한 반응, 운동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 (2)Study/NSCA-CSCS 2021. 10. 11. 15:34
[NSCA-CSCS] 노인을 위한 저항훈련 : 저항훈련에 대한 반응, 운동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 (2) 지난 글에 이어서 노인을 위한 저항훈련의 운동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노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사항 노화로 인한 근력, 순발력 그리고 근육량의 손실은 거의 보편적인 사실입니다. 따라서 노인의 근골격계 건강을 유지 또는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합니다. 노인과 젊은이를 위한 저항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기본 원칙은 근본적으로 동일합니다. 하지만 노인들의 훈련에 관여할 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고령자를 운동 유발성 손상 혹은 질병의 위험에 놓이게 할 수도 있는 저항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기존의 질병, 훈련 경력 및 영양 상태에 주..
-
[NSCA-CSCS]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Study/NSCA-CSCS 2021. 9. 19. 11:30
[NSCA-CSCS]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 & 과훈련 증후군 : Overtraining Syndrome(OTS) 선수든 일반인이든 운동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운동을 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은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입니다. 많은 분들이 단순히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시지만 운동과 휴식의 조화가 이루어 지지 않고 불균형을 이룬다면 과훈련과 과훈련 증후군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과훈련에 관한 공부내용을 남기겠습니다. 과훈련과 과훈련 증후군에 대한 정의 과훈련은 단기간 수행력 저하인 기능적 과수행(Functional Overreaching) 또는 장기적인 극심한 수행력 저하인 비기능적 과수행(Nonfunctoional Overreaching, NFOR) 또는..
-
[NSCA-CSCS]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급성 반응Study/NSCA-CSCS 2021. 9. 17. 11:30
[NSCA-CSCS]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급성 반응 한 번의 유산소성 운동은 심혈관계, 호흡계 및 근골격계를 포함하여 신체에 대사적 부담을 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운동의 급성 스트레스에 반복적으로 노출과 함께 시행하는 장기간 트레이닝은 모든 신체기관의 반응과 기능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그럼 오늘은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급성 반응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심혈관계 반응 유산소 운동시 심혈관계의 주된 기능은 산소와 영양분을 운동하는 근육으로 운반하고 대사산물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1) 심박출량 심박출량(Cardiac Output) : 1분 동안에 의해 박출된 혈액의 양 심박출량(Q) = 1회박출량 X 심박수 유산소 운동시 안정 상태에서부터 항정상태에 이르는 동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