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조직의 회복 단계 (Healing process : Stages of Tissue Healing)
    Study/스포츠 의학 2021. 9. 24. 11:30
    728x90
    반응형

    조직의 회복 단계 (Healing process : Stages of Tissue Healing)

    섬유조직의 회복단계(Soft tissue healing process)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면 언제든지 스포츠 손상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상대 선수와 접촉이 발생하는 스포츠에서는 상해에 더 자주 노출될 것입니다. 오늘은 발목의 염좌나 십자인대 손상, 회전근개 손상과 같은 연부조직의 손상 후 조직이 회복되는 기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조직의 회복 속도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회복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회복되니 손상 후 재활의 과정에 참고하시면 유용할 것입니다.

    조직의 회복의 단계는 ①급성기(Acute stage), ②아급성기(Subacute stage), ③만성기(Choronic stage)로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급성 단계 (Acute Stage)

    급성 단계는 염증반응(Inflammatory Reaction)이 일어나는 단계입니다. 손상이 있은 직후부터 4~6일 까지의 기간이 급성 단계에 해당됩니다. 

     

    급성 단계의 아래와 같은 조직의 반응과 특징이 있습니다.

    • 혈관 변화 (Vascular changes)
    • 세포와 화학물질의 삼출 (Exudation of cell & chemicals)
    • 혈전 형성 (Clot formaition)
    • 식작용, 자극의 중화 (Phagocytosis, neutralization of irritants)
    • 조기 섬유아세포 활동 (Early fibroblastic activity)

     

    임상 징후(Clinical sign)에는 아래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 염증 (Inflammation)
    • 조직저항 이전의 통증 (Pain before tissue resistance)

    급성기에 나타나는 염증 징후는 부종(Swelling), 발적(Redness), 발열(heat), 안정 시 통증(Pain at rest), 기능 소실(Loss of function)과 같은 징후들이 나타납니다.

     

    급성단계의 기간 동안 치료의 목표와 중재는 보호 단계인 초기단계로 다음과 같이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염증 관리 : PRICE요법 - Protect(보호), Rest(휴식), Ice(냉찜질), Compression(압박), Elevation(거상)
    • 휴식에 대한 해로운 효과 예방 : 손상을 주지 않는 움직임, 수동 가동범위, 마사지 그리고 조심스러운 근고정

    회복단계의 급성기 기간인 4~6일까지의 기간에서 2~3일간 침상안정을 취하게 될 수 있습니다. 짧은 기간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이 기간 동안에도 충분히 휴식에 대한 해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침상안정을 포함한 급성기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해로운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서 손상부위를 자극하지 않는 단순하고 쉬운 운동들을 하면서 관리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급성기 단계 (Subacute Stage)

    아급성기 단계는 회복과 치유(Repair and Healing)의 단계입니다. 이 기간에는 염증 징후가 점차 감소하여 사라지게 됩니다. 이 기간은 10~17일 동안 일어납니다. 하지만 혈류가 제한되는 조직인 힘줄 조직(tendon)이나 인대(ligament)에서는 6주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아급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반응과 특징입니다.

    • 유해한 자극 제거 (Removal of noxious stimuli)
    • 모세혈관 영역 확장 (Growth of capillary beds into area)
    • 콜라겐 형성 (Collagen formation)
    • 육아조직 (Granulation tissue)
    • 매우 연약하고 손상되기 쉬운 조직 (Very fragile easily injured tissue)

     

    아급성 단계의 임상 징후입니다.

    • 염증 감소 (Decreasing inflammation)
    • 조직 저항과 동시에 통증 발생 (Pain synchronous with tissue resistance)

     

    아급성 단계 동안 치료의 목표와 중재는 운동 통제 단계로 중기 단계입니다.

    • 흉터의 가동화 진행 (Develop mobile scar) : 선택적인 스트레칭, 제한에 대한 가동화/조절
    • 치유 촉진 (Promote healing) : 손상을 주지 않는 활동, 저항, OKC & CKC 안정화, 근지구력, 심폐 지구력 운동 강도와 범위에 따라 조심스럽게 진행

    이 기간 동안에 형성된 미성숙한 결합조직은 얇고 조직화가 되지 못해서, 과도한 스트레스에 의해 쉽게 파열되고 손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부하로 자극한다면 적절한 성장과 정렬이 일어날 수 있고 조직 주위의 유착을 동시에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가동범위의 확보가 늦춰져 6주까지의 기간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이 시기 이후부터 강제적인 가동범위 확보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만성 단계 (Chronic Stage)

    만성 단계는 성숙과 리모델링 (Maturation & Remodeling)의 단계입니다. 만성기에서는 염증 징후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관절 가동범위를 제한하는 구축이나 유착이 일어날 수 있고, 근육의 허약(weakness)으로 인해 정상기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만성기 기간 동안은 결합조직은 계속 강화되고 리모델링합니다. 타이트한 구조물에서는 가동범위의 끝지점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능은 근육의 허약과 지구력 감소 또는 신경절에 의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만성 단계는 손상 정도에 따라 6개월에서 12개월까지 지속됩니다.

     

     

    만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조직의 반응과 특징입니다

    • 결합조직의 성숙 (Maturation of connective tissue)
    • 흉터(반흔) 조직의 구축 (Contracture of scar tissue)
    • 흉터(반흔)조직의 리모델링 (Remodeling of Scar tissue)
    • 스트레스에 의한 콜라겐 정렬 (Collagen aligns to stress)

     

    만성 단계의 임상 징후입니다.

    • 염증 소실 (Absence of inflammation)
    • 조직 저항 이후 통증 (Pain after tissue ressistance)

     

    만성 단계의 재활 동안의 목표와 중재는 기능 회복 단계인 말기 단계입니다.

    • 흉터의 긴장 정도를 증가 (Increase tensile quality of scar) : 강화와 지구력 운동으로 진행(Progressive strengthning and endurance exercises)
    • 기능적 독립으로 성장 (Develop functional independence) : 기능적 운동과 특성화 훈련 (Functional exercises and specificity drills)

     

     

    오늘은 섬유조직(인대, 건[힘줄], 근육)의 손상 후 재활 과정에 있어서 조직의 회복 단계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손상부위나 크기에 따라 위의 단계의 기간과 관리에 대해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섬유조직의 손상 후 재활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가 크게 벗어나지 않고 회복되기 때문에 회복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트레이닝을 한다면 재손상을 예방하고 회복을 하는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