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SCA-CSCS]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Study/NSCA-CSCS 2021. 9. 26. 11:00728x90반응형
[NSCA-CSCS]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 - 유산소운동, 과훈련
지난 글에서 유산소성 과훈련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유산소성 훈련의 과훈련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 & 과훈련 증후군 : Overtraining Syndrome(OTS) 선수든 일반인이든 운동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운동을 하는 것 만큼 중요한 것은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입니
hajin94.tistory.com
오늘은 조금 간단하게 유산소성 운동의 과훈련의 지표를 정리하겠습니다.
유산소성 과훈련 증후군 발생의 지표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특징적 기준들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지표는 트레이닝 부하에 민감해야 합니다
- 지표는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합니다
- 지표의 변화는 과훈련 증후군 발생보다 선행되어야 합니다
- 지표는 정확하게 측정하기 쉬워야 합니다
- 측정은 과도하게 침습적이지 않아야 합니다
- 지표의 사용이나 측정 비용이 비싸지 않아야 한다
다음의 변수들은 잠재적인 지표들로 확인되었지만 나열된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는 변수는 없습니다.
- 운동수행력 감소
- 체지방 비율 감소
- 최대산소섭취량 감소
- 혈압 변화
- 근육 통증의 증가
- 근육 글리코겐 감소
- 안정시 심박수 변화 및 심박수 변동성 감소
- 최대하 운동 중 심박수 증가
- 젖산 감소
- 크레아틴 키나아제 증가
- 코티솔 농도 변화
- 총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 코티솔에 대한 총 테스토스테론 비율 감소
- 코티솔에 대한 유리 테스토스테론 비율 감소
-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에 대한 총 테스토스테론 비율 감소
- 교감신경의 작용 감소(야간 및 안정시 카테콜아민 감소)
- 교감신경성 스트레스 반응 증가
- 감정상태의 변화
- 심동적 속력검사의 수행력 감소
오늘은 간단하게 유산소성 과훈련 지표에 관해서 공부해 보았습니다.
몇 가지의 지표를 통해서 과훈련이 진행되고 있고, 그에 따라 과훈련 증후군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사전에 예측 혹은 발견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하시고 유산소성 트레이닝을 지도할 때 선수가 과훈련에 들지 않도록 노력하는 트레이너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728x90반응형'Study > NSCA-CS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CA-CSCS] 여자선수들의 저항운동 : 여성의 저항운동, 훈련에 대한 반응, 체격, 근력, ACL 손상 (0) 2021.09.29 [NSCA-CSCS] 무산소성 과훈련(Overtraining)의 표지인자 - 과훈련, 과훈련증후군 (0) 2021.09.27 [NSCA-CSCS]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 (0) 2021.09.19 [NSCA-CSCS]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급성 반응 (0) 2021.09.17 [NSCA-CSCS] 해부학적 자세와 해부학적 면과 축 (0) 2021.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