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SCA-CSCS] 무산소성 과훈련(Overtraining)의 표지인자 - 과훈련, 과훈련증후군Study/NSCA-CSCS 2021. 9. 27. 18:00728x90반응형
[NSCA-CSCS] 무산소성 과훈련(Overtraining)의 표지인자
요즘 계속해서 과훈련(Overtraining)에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는 유산소성 과훈련과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에 대해서 공부했었습니다.
오늘은 무산소성 과훈련(Overtraining)의 표지인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훈련(Overtraining)에서 과훈련 증후군(Overtraining syndrome)의 병리적 기전에 대한 지식이 많이 증가했지만, 조기에 과훈련 증후군을 식별하기 위한 진단 도구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결정적인 진단 도구가 개발될 때까지, 코치와 선수는 무산소성 과훈련이 분명하다는 검증으로 수행력 감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의 기준이 진단을 위한 기준으로 고려될 수 있는 요소들입니다.
1. "선수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겪고 있는가?"
- 원인 불명의 수행력 저하
- 지속적인 피로
- 훈련 중 노력의 감각 증가
- 수면 장애
- 식욕 부진
2. "최대 운동검사, 종목-특수적인 수행능력 검사나 생명 징후 평가(심박수, 혈압)에서 선수의 점수가 이전 검사보다 낮은 수준이거나 본인의 정상 혹은 기본선이라고 간주할만한 것보다 부족한 상황인가?"
3. "선수 훈련 프로그램의 계획에 실수가 없는가?"
- 훈련량의 유의한 증가
- 훈련 강도의 유의한 증가
- 단조로운 훈련
- 잦은 시합 수
4. "혼란을 줄 수 있는 다른 변인들은 없는가?"
- 심리적 증상과 증후(불안정한 기분 상태(disturbed profile of Mood states, POMS)의 특성, 정상보다 높은 운동 자각도)
- 사회적 요인(가족, 친척, 재정, 일, 코치, 팀)
- 최근에 상이한 시간대 지역으로의 여행(시차)
5. "선수가 다른 일반적인 배제 기준을 가지고 있는가?"
- 혼란스러운 질병
- 빈혈
- 감염성 질환
- 근 손상(높은 크레아틴 분해효소 수준)
- 내분비 장애(당뇨병, 카테콜라민, 아드레날린, 갑상선)
- 주요한 식이장애
- 생물학적 이상(C-반응성 단백질, 크레아티닌, 감소된 페라틴)
- 근골격계 손상
- 심장병 증후군
- 성인 발병 천식
- 알레르기
위의 표지인자들중 하나만을 가지고 과훈련 증후군(Overtraining Syndrome)을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과훈련 증후군은 기본적으로 다인성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행능력, 생리적, 생화학적, 면역학적, 및 심리적 변인들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오늘은무산소성 과훈련(Overtraining)의 표지인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선수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는 훈련이 지나치게 과도하여 오히려 선수들의 수행능력을 감소시키고 있지는 않은지 위의 표지인자들을 참고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시고 새롭게 설계해보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참고 - NSCA CPT, CSCS 대비 트레이닝의 정수
[NSCA-CSCS]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
[NSCA-CSCS]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 - 유산소운동, 과훈련 지난 글에서 유산소성 과훈련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유산소성 훈련의 과훈련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링크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
hajin94.tistory.com
728x90반응형'Study > NSCA-CS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SCA-CSCS] 여자선수의 ACL 손상 감소 전략 : 전방십자인대, ACL (2) 2021.09.30 [NSCA-CSCS] 여자선수들의 저항운동 : 여성의 저항운동, 훈련에 대한 반응, 체격, 근력, ACL 손상 (0) 2021.09.29 [NSCA-CSCS] 유산소성 과훈련의 지표 (0) 2021.09.26 [NSCA-CSCS] 유산소성 지구력 훈련의 과훈련 : Overtraining(오버트레이닝) (0) 2021.09.19 [NSCA-CSCS] 유산소성 운동에 대한 급성 반응 (0)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