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NSCA-CSCS] 여자선수의 ACL 손상 감소 전략 : 전방십자인대, ACL
    Study/NSCA-CSCS 2021. 9. 30. 13:43
    반응형

    [NSCA-CSCS] 여자선수의 ACL 손상 감소 전략 : 전방십자인대, ACL

    사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Women%27s_basketball

     

    여자선수들의 저항운동에 이어서 오늘은 스포츠 관련 손상 중 많은 선수들이 손상을 입는 여자선수의 전방십자인대(ACL) 손상의 감소 전략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글에서도 소개가 있었지만 여자선수들의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관절의 느슨함, 사지의 정렬 , 절흔의 크기, 인대의 크기, 신체의 움직임, 신발 표변의 상호작용, 기술 수준, 호르몬의 변화, 발목 보조기의 사용, 훈련부족 등의 요인들이 있었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신경근의 결핍임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것은 결국 비정상적인 생체역학(지면과 접촉할 댸 동적 무릎 외반의 증가)의 원인이 되는 것입니다.

     

     

    스포츠 참여 전에 무릎 관절의 신경근 조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근육 및 결합조직을 강화하기 위해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균형 잡힌 체력관리 프로그램(저항훈련, 플라이오메트릭, 민첩성 및 평형성 훈련 포함)에 참여하는 것이 손상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ACL 손상 메커니즘 (사진출처 - 뉴만 Kinesiology)

     

    여자선수의 대부분의 ACL 손상은 비접촉 메커니즘(예: 감속, 측면 회전 혹은 착지)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지지하는 구조(Supporting structures)의 힘을 향사시키고 무릎 관절의 신경근 조절을 증가시키도록 체력프로그램은 설계되어야 합니다.

     

     

     

    NSCA-CSCS 트레이닝 정수에서 권고하는 여자선수의 ACL 부상 위험을 줄이기 위한 체력관리사의 역할에는 아래의 내용들이 있습니다.

     

    1) 스포츠의학 전문의에 의한 운동 참여 전 검사를 권장합니다. 여기에는 근골격계 검사와 함께 손상 위험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2) 여자선수들이 저항운동, 플라이오메트릭, 순발력과 민첩성, 유연성 훈련을 포함하는 연중 내내 운영되는 체력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권장해야 합니다. 체력관리 프로그램은 각 운동선수의 특정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며, 훈련 적응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3) 여성들이 다양한 환경 안에서 움직임 메커니즘(예를들어 도약, 착지, 비틀림, 그리고 끼어들기)을 배우고 반복적으로 연습하고 교정할 수 있게 합니다.

     

    4) 일반적인 동적 준비운동과 주요 근육군(예를들어 후방 사슬 근육군)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 및 운동과 관련된 유사한 움직임을 사용하는 특이적 준비운동을 모든 운동 세션 전에 실시합니다.

     

    5) 기술 이전을 최적화하고, ACL 손상과 관련된 생체역학을 강화시키기 위해 훈련 세션에서 강화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6) 아동들에게 손상 예방 프로그램(기술과 건강관련 체력요소 모두를 발달시키기 위한 점진적인 저항훈련 포함)에 참여하도록 권장합니다. ; 조기참여가 프로그램의 효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7) 운동선수는 연습과 경기 중에 적절한 운동복과 신발을 착용하도록 권장합니다.

     

     

    오늘은 여자선수들의 ACL 손상 감소 전략에 대해서 공부해보았습니다. 여자선수들은 골반의 구조 뿐만 아니라 신경근의 조절 능력으로 인해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이 빈번할 것이고 저희는 트레이닝에서 이것에 대해 고민하고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참 고 - NSCA CPT, CSCS 대비 트레이닝의 정수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